두산퓨얼셀에 투자해 온 지 벌써 3년이 넘었네요. 주주총회도 가봤습니다. 제 투자스토리도 살짝 풀어보겠습니다. 투자자라면 그 기업을 잘 알아야겠죠? 이 글에서는 두산퓨얼셀을 분석해 보고 전망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목차
두산퓨얼셀(DOOSAN PureCell)
두산퓨얼셀은 두산중공업 수소연료전지 사업부에서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다 2014년, 두산그룹은 클리어 엣지 파워(CEP: Clear Edge Power)라는 미국의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회사를 인수했습니다. 이를 통해서 연료전지 원천기술을 확보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익산에 63MW 규모의 공장을 건설하였고 2017년 3월에 수소연료전지 1호기를 생산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주)두산퓨얼셀이 인적 분할되어 코스피에 상장되었습니다. 현재는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도 수출하고 있습니다. 중국을 시작으로 미국에도 두산퓨얼셀의 제품이 설치되어 가동 중입니다.
사업(Business)
연료전지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제조설비와 공급망을 갖추고 있으며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시행하고 있습니다.
영업소 및 공장 현황 (2022. 12. 31. 기준)
- 본사(익산공장) - 연료전지의 생산 및 관리
- 서울사무소 - 영업 및 서비스 총괄
- R&D 센터 - 연구개발
- 익산 2공장 - 연료전지의 생산 및 관리
- 서비스 site - 장기 유지보수 서비스(LTSA)
직원 (2022. 12. 31. 기준)
- 총 460명
- 연간급여 총액 - 357억6천만원
- 1인 평균 급여액 - 7천6백만원
원천기술 보유 및 개발
액체 인산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인산형 연료전지(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터 설계까지 직접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과 미국에 R&D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조 및 공급
익산공장은 275MW의 연간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셀-스택 생산 설비가 자동화 되어 있습니다. 최근 신설된 공장들은 로봇으로 자동화 설비를 사용해 비용 절감의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 익산 공장은 설계부터 효율성을 있게 만들어진 공장이라고 합니다. 또 국내 수주에서는 꽤 유리한 부분이 부품의 국산화율을 98%까지 끌어올렸다는 점입니다. 공급망 또한 안정적일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하반기 군산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장 준공 예정
장기 유지보수서비스
일단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면 이를 유지보수하는 서비스에 대한 매출이 자동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앞으로도 수주를 지속적으로 따내 두산퓨얼셀의 연료전지의 설치를 늘린다면 이 서비스 매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국내・외 제품을 24시간 관리하기 위해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료전지 제품
연료전지의 원리
물에 전기를 가하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됩니다. 반대로 수소와 산소를 결합하면 물이 되고 그 과정에서 많은 전기와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연료전지는 이렇게 발생한 전기와 열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때 전해질이 필요하고 두산퓨얼셀의 M400 모델은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합니다. 인산은 안정도가 높고 낮은 온도에서도 반응하기 때문에 저온 연료전지를 가능하게 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두산퓨얼셀에서는 24시간 가동하여 10년간 사용했을 경우에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인산형 연료전지 Model 400
익산공장에서 생산하는 PAFC(인산형 연료전지)는 110kW 연료전지 4개를 M400(440kW)이라는 발전기용 Power Plant로 만들고 있습니다. 100% 수소 사용 연료전지입니다. 같은 제품으로 도시가스, LPG/LNG를 원료로 가동되는 제품도 있습니다. 도심, 도서・산간 지역 등 지역의 사정에 따라 원료공급이 원활한 방식을 설치합니다.
두산퓨얼셀 트라이젠(TRI-gen)
트라이젠은 국내 최초로 전기, 수소, 열에너지를 동시에 만들 수 있는 제품입니다. 모듈 내부 개질기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고, 동시에 셀-스택을 거쳐 전기와 열이 나오는 3중 에너지 생산모델입니다.
경기도 화성시에 복합 에너지 허브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곳에는 50kW 충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 3대와 수소충전기 1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수소 충전소에는 고압 수소를 운송해 수소충전소에 공급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 제품은 직접 생산하는 발전기가 있기 때문에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전기나 수소의 생산효율이 실사용에 문제없을 정도인지 궁금하네요.
나의 투자 이야기
첫 투자
2020년 3월 코로나로 전 세계가 충격이 빠졌을 때 7,200원에 70주를 처음 매수했습니다. 50만 원 정도의 투자금이었습니다. 이때는 주식투자를 처음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라서 그야말로 '주린이'였습니다. 그때의 '주린이'가 두산퓨얼셀에 투자했던 이유는 첫째, 수소연료전지가 공공기관에 도입되고 있었다는 점이었고 두 번째는 자동화 공장이라서 비용이 크지 않으리라 판단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습니다. 아마 두산퓨얼셀이 코스피에 상장하고 1년이 지나지 않았을 시기인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어진 투자
그런데 제가 매수한 이후에 주가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더 매수할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추가로 조금씩 매수했습니다. 7,100원에도 조금 매수하고 6,800원에서도 매수했습니다. 3월 16일에는 6,120원에 매수했고 17일에는 5,200원에 매수했습니다. 3월 24일에는 4,400원에 10주를 매수했네요. 이때는 코로나로 인한 역사적 저점이 기록되고 며칠 뒤입니다. 투자한 금액이 너무나 적어서 아쉽네요. 이후에도 조금씩 매수했습니다. 다른 종목도 매수를 하는 상태여서 두산퓨얼셀을 중요하게 생각하진 않았습니다.
주가 상승
미국 연준에서 금리인하를 발표하고 그 여름쯤부터 코스피 전체가 불타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두산퓨얼셀도 덩달아 주가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수주를 많이 했고 실적도 좋게 나왔습니다. 그러다 2021년 2월 65,000원이 넘어가면서 고점을 찍었습니다. 역시 기분이 좋더군요. 투자하면서 처음 본 수익률이었습니다. 이때는 참 주식 앱을 많이도 들여다봤습니다.
실적 악화와 금리 인상
고점을 찍은 이후로는 실적이 조금씩 악화하였고 금리 인상 등 매크로의 영향을 받으며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성장주로 인식되는 주식이라 금리 인상 시기에 더 어려움이 큽니다. 그래도 실적이 떨어진 원인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경쟁업체들도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현재 두산퓨얼셀의 주가는 30,000원 정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고점에 팔았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안 해본 것은 아닙니다. 사람이니까요. 그래도 투자금액이 많진 않지만 100% 이상 수익을 기록하고 있기에 잘 버티고 있습니다. 아직 성장할 부분이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작성하는 현재까지도 잘 보유하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 주주총회 방문기
2023년 3월 29일 주주총회가 있었습니다. 장소는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웨스턴라이프호텔'이었습니다. 신생기업이 어느덧 4번째 주주총회를 하는군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니 주주를 확인하는 데스크가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주주 확인을 하고 들어갑니다. 대표이사님이 실적에 대해 발표하고 정관변경 건에 관해 설명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질의응답을 가졌습니다.
물조차 준비가 안 돼 있는 점은 개인적으로 아쉬웠습니다. 주주들에게 신경 쓴다기보다 혹시 모를 질문이나 사고에 대응하려 긴장한 모습이 더 보였습니다.
의결사항 중 주목할 사항은 사업목적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입니다. 정관 2조 중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 및 부품'으로 수정되었는데 부품 부분이 추가되었습니다. 또 '환경친화적 자동차 부품 제조판매업'에서 '환경친화적 자동차 및 부품 제조판매업'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수소자동차 부분에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미리 정관을 변경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실적 분석
2022년 가장 좋은 매출을 기록한 이후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어들고 있으나 발전용 연료전지의 생산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2년까지 매출실적
사업 부문 | 합계 | 발전용 연료전지 매출 (단위: 백만원) |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 (단위: MW) |
|
매출유형 | 기기 매출 | 서비스 매출 | ||
2022년 | 312,149 | 206,242 | 105,907 | 116 |
2021년 | 381,412 | 287,208 | 94,204 | 95 |
2020년 | 461,839 | 395,050 | 66,789 | 66 |
2022년까지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연도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2022년 | 72억 22백만원 | 38억64백만원 |
2021년 | 179억 9천만원 | 86억95백만원 |
2020년 | 260억 34백만원 | 141억9천만원 |
성과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충남 서산시 대산산업단지에는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있습니다. 순수하게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연료전지 발전소는 세계 최초라고 합니다. 이 발전소에는 두산퓨얼셀의 수소연료전지가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 발전소는 두산퓨얼셀 제품 M400(440kW) 114대로 구성되어 총 50MW급 전력 생산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하루에 9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입니다. 발전소 옆의 대산석유화학단지 정유 공장에서 나오는 수소(부생수소)를 이용해 원료로 사용합니다.
미국
뉴욕 제1 세계무역센터는 2001년 911테러가 발생한 곳에 다시 세운 108층 건물이며 M400 6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소규모이지만 코카콜라, 버라이즌의 데이터센터에도 연료전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2023년 1분기 실적 발표
이제 최근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499억 원으로 영업이익 32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은 6.4%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512억 원 대비 소폭 하락했으며, 영업이익은 퇴직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감소하였고 장기 유지보수서비스인 LTSA(Long-term Service Agreement)의 수익성 향상 등으로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연료전지를 지속하여 설치해 나가면 LTSA의 매출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부분은 매출에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두산퓨얼셀 주가
30,500원의 주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15일 종가기준)
6월 수소입찰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으나 주가는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2023년 사업 계획 (Guidance)
두산퓨얼셀은 2023년에 248MW의 수주량을 바탕으로 매출액 5,084억 원, 영업이익 233억 원을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기 수주물량 및 올해 신규 수주 물량에 대한 매출 인식을 통해 이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RPS와 *CHPS 관련 수주와 해외시장 확대 등을 통해 수주량을 증가시키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
- CHPS(Clean Hydrogen Portfolio Standard): 청정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
수소 발전 입찰 시장(CHPS)
6월에는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수소 발전 입찰 시장이 개설됩니다. 기존 RPS에서는 태양과 풍력 등과 같이 경쟁해야 하는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도입된 CHPS는 연료전지, 수소엔진 등 수소 발전 기술들이 경쟁할 수 있도록 입찰 시장을 구축한 것입니다.
두산퓨얼셀은 60%의 입찰 물량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입찰 물량이 부족하다는 것이 업계의 이야기입니다. 두산퓨얼셀은 얼마나 물량을 확보할 수 있을까요?
2023년 6월에 입찰하는 물량은 일반수소 발전시장입니다. 발전소 건설 및 준비기간(2년)을 거쳐 2025년에 구매가 됩니다.
2024년부터 시작하는 청정수소 발전시장에서는 발전소 건설 및 준비기간(3년)이 지난 후 2027년부터 구매가 진행됩니다.
- 연도별 누적 구매량(GWh)
2025년 | 2026 | 2027 | 2028 | |
일반수소 발전시장 | 1,300 | 2,600 | 3,900 | 5,200 |
청정수소 발전시장 | - | - | 3,500 | 9,500 |
합계 | 1,300 | 2,600 | 7,400 | 14,700 |
- 일반 수소 발전시장 - 개질 및 부생수소
- 청정 수소 발전시장 - 그린, 블루수소
해외시장
- 중국
- 광동성 ZKRG사와 중장기 대규모 공급 계약
- 규모: 105MW
- 기간: ~ 2026년 말
- 절강성 BEISEN사와 수소 모델 고급 계약
- 규모: 4.8MW
- 수전해 연계 그린수소 연료전지 발전 시범사업
- 광동성 ZKRG사와 중장기 대규모 공급 계약
- 호주
- 남호주 주 정부와 업무 협약 체결
- 친환경 수소 활용 인프라 구축
- 남호주 수소 발전 입찰 참여(수소 모델)
- 남호주 주 정부와 업무 협약 체결
- 중동
- 중동 내 Business model 검토 중
- Vision 2023 달성 관련 Value Chain 형성 중
- 대규모 청정수소 사업 추진 중 → 수소 모델 중심의 수요 형성을 기대
- 중동 내 Business model 검토 중
두산퓨얼셀 수소차 등 신성장 동력
두산퓨얼셀은 2023년 말 SOFC 신공장 준공으로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수소자동차에 들어가는 모빌리티 파워팩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예정이고 이를 상업화할 예정입니다. 수소차를 생산한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이고 수소연료전지 배터리를 판매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길 기대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리스크(Risk)
대체 산업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밀어주고 있으나 이를 위해 반드시 수소에너지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정책의 변화나 환경의 변화로태양광, 지열, 풍력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가 각광받을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현재까지는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경쟁업체
블룸SK퓨얼셀
미국 블룸에너지와 SK 에코플랜트의 합작회사로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자랑하는 SOFC(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생산한다. 두산퓨얼셀의 가장 강력한 경쟁상대이다. 현재 공장을 증설 중이며 2023년에 준공 예정이다. 이 공장은 연간 200MW 이상의 제품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 HD 현대 - 수소 연료전지 사업에 뛰어들었다.
- 에스퓨얼셀- 건물용 수소 연료전지 제조 및 판매, 연료전지 파워팩
- 범한퓨얼셀 - 잠수함용 수소 연료전지 사업을 시작으로 건물용,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 등으로 확장
두산퓨얼셀 주가 전망
전망
두산퓨얼셀은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의 발전용 연료전지 공급업체입니다. PAFC 연료전지는 국내 시장 점유율이 70%입니다. 타 업체보다 경쟁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SK이나 현대 같은 대기업들도 관련 사업에 뛰어들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어떤 산업이든지 독점기업은 이익을 많이 가져갈 수 있지만 경쟁이 치열해진다면 이익이 떨어지고 실적이 악화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자면 대기업들이 뛰어들어오는 것을 미루어봤을 때 이 산업에 먹을 것이 많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정부는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수소 산업을 키우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마찬가지죠. 그래서 성장성이 높은 기업으로 기대를 받아 주가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2023년은 전년 대비 실적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기존 수주 물량에 더해 신규 수주 물량이 더해질 예정입니다. 호주나 중국 시장에도 사업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수소 발전 입찰 시장에서 얼마나 수주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겠지만 이 부분이 실적이나 주가에 큰 영향을 줄 것입니다.
SO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장에서 블룸SK퓨얼셀과 경쟁이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합니다. 앞으로의 성장성을 보여줄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기업 모두 2023년에 공장에 준공되거나 확장이 완료됩니다. 블룸의 기술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어 두산퓨얼셀에게 좋은 상황은 아닙니다. 그러나 두산에서도 대응을 하고 있을 테니 상황을 지켜보겠습니다.
계절성
두산퓨얼셀의 실적을 보면 전체 매출의 70%가 2분기와 4분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해서 실적이 좋지 않을 때 매수하시고 좋은 실적이 나오는 연말에 매도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미래
수소 산업이 얼마나 발전해서 우리의 생활에 침투할 것인지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수소 연료전지가 친환경으로 주목받고 사고 없이 지속하여 성장할 수 있을까요? 만약, 자동차나 선박 등의 이동 수단에서도 수소연료전지가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 미래가 온다면 아마 관련 업계가 크게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먼 미래라서 속단하기 어렵습니다. 두산퓨얼셀이 잘 성장하여 주가도 전고점을 돌파하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